💡 부모를 위한 미디어 팁

스스로 끄는 아이로 만들기 – 스크린타임 훈련법

sstdudio 2025. 6. 16. 13:34
반응형

 

 

"아이한테 유튜브 잠깐만 보여줬는데, 끌 때마다 전쟁이에요…"

많은 부모님들이 공감하는 이야기죠. 미디어가 아이에게 너무나 매력적인 존재가 되면서,

스스로 끄기란 정말 어려운 일이 되었어요. 하지만 조금씩 습관을 만들어주면,

아이도 미디어를 '사용할 줄 아는' 사용자가 될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'스스로 끄는 아이'를 만드는 스크린타임 훈련법을 소개할게요.

반응형

✅ 1. 미디어는 '보상'이 아니라 '약속'

아이에게 미디어를 보상으로 주면, 더 간절한 존재가 돼요. "이거 다 하면 유튜브 보여줄게"보다

→ "이 시간에는 미디어를 30분 볼 수 있어"라는 약속으로 접근하세요.

✅ 2. 시간은 '시계'가 아니라 '상황'으로 알려주기

"이제 5분 남았어"보다 → "이 영상 끝나면 꺼야 해"처럼 상황 중심으로 이야기해보세요. 아이들은 아직 시간 개념이 약하니까, 영상 단위로 설명하는 게 더 직관적이에요.

✅ 3. 꺼지는 시점에 긍정적 활동 연결하기

미디어를 끄는 순간이 늘 슬프면, 그건 반복되는 스트레스가 돼요. 예를 들어:

  • "영상 끝나면 같이 스티커 놀이하자!"
  • "이거 끝나고 간식 먹을까?" 이렇게 '꺼짐 이후의 즐거움'을 연결해주세요.

✅ 4. '스크린타임'을 함께 설정하기

아이와 함께 규칙을 정해보세요.

  • "하루에 몇 분이 좋을까?"
  • "어떤 콘텐츠를 보면 좋을까?" 스스로 선택한 규칙은 더 잘 지켜요. 이건 아이의 주도성을 키우는 데도 큰 도움이 돼요.

✅ 5. 일관성이 핵심! 오늘 다르고 내일 다르면 실패

"오늘은 예외야"라는 말이 반복되면, 규칙은 금세 무너져요. 처음에는 힘들어도, 일관되게 지켜야 아이도 그 틀 안에서 습관을 만들 수 있어요.


  • 아이가 좋아하는 영상은 '플레이리스트'로 묶어서 미리 시간 설정하기
  • 유튜브 키즈 or 넷플릭스 키즈처럼 자동 종료 기능 활용하기
  • 너무 강하게 끄지 않도록, 미리 1~2분 전 알림 주기

미디어를 끄는 힘은 자제력이 아니라, 습관에서 시작돼요.

스스로 끄는 아이가 되는 건 하루아침에 되진 않지만, 부모의 꾸준한 가이드가 있다면 가능해요. 부모와 아이가 함께 만드는 건강한 미디어 사용 습관, 오늘부터 시작해보세요 :)

반응형